본문 바로가기

운영체제2

Cache(캐시) 오늘날 캐싱은 하드웨어 수준에서 그치는 게 아니라 운영체제, CDN, DNS 등의 네트워킹 계층, 그리고 웹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베이스를 비롯한 다양한 기술 계층에 걸쳐 적용되고 활용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캐시의 대표격인 캐시 메모리를 위주로 캐싱이라는 주제를 다뤄보겠습니다. 우선, 캐시란 무엇일까요? 캐시란 자주 필요한 데이터가 값의 복사본을 일시적으로 저장, 보관하기 위해 사용하는 곳입니다. 이러한 캐시를 사용하는것을 캐싱이라고 부릅니다. 캐시를 왜 사용하는 것 일까요? 캐시 메모리의 도입 컴퓨터의 동작 흐름을 통해 캐시 메모리의 도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컴퓨터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보자면, 하드 디스크에 있는 데이터를 RAM에서 불러오고 CPU는 RAM에 저장되어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산작업.. 2022. 4. 29.
OSI 7 Layer (OSI 7 계층) 구조 들어가기전에 앞서 현대의 인터넷은 OSI Model이 아니라 TCP/IP 모델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두 대의 컴퓨터가 통신하려면? - 모든 파일과 프로그램은 0과 1의 나열이다. - 결국 0과 1만 주고받을 수 있으면 된다. 1계층: Physical Layer (물리 계층) 0과 1의 나열을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어 전선으로 흘려 보내고(encoding), 아날로그 신호가 들어오면 0과 1의 나열로 해석하여(decoding) 물리적으로 연결된 두 대의 컴퓨터가 0과 1의 나열로 주고받을 수 있게 해주는 모듈이라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집에서 사용하는 LAN선이 물리 계층에 속하며, 물리 계층에서의 데이터 전송은 bit로 이루어진다. 1계층에 속하는 기술만으로 여러 대의 컴퓨터가 통신하도록 만들 수 없.. 2022. 1. 18.